본문 바로가기

building up

변리사가 되는 방법, 자격증, 필기시험과목 그리고 변리사의 임금과 만족도 전망

728x90
반응형

 


변리사가 되기 위해서는 두가지 경로가 있습니다.
 
1. 특허청에서 시행하는 변리사 시험합격
(시험자격: 만20세 이상, 학력 성별 나이제한 없이 응시가능)
시험과목: 자연과학개론,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 산업재산권법, 민법개론 등의 과목으로 필기시험 1차와 2차로 진행
 
특허청 소속 공무원의 경우 일정기간 이상 특허행정업무의 경력으로 1차 시험과 2차시험의 일부를 면제받을 수 있으니 특허청의 행정업무 경력을 쌓는 것도 변리사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변리사는 국가전문 자격증입니다.

변리사

2.변호사 시험 합격 후 실무수습을 마친 후 변리사로 등록
(실무수습 = 집합교육 250시간과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및 특허청장이 지정한 곳에서 현장연수를 6개월동안 이수해야 함)
 
지식재산권과 관련된 만큼 관련 법 (산업재산권법, 민법, 특허법, 상표법, 민사소송법) 뿐만아니라 특허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열역학, 재료공학, 화학, 전자, 통신, 데이터, 약학, 기계, 건축등의 전공 중 한분야에서는 전문성을 띄어야 합니다.
 
변리사일자리전망
일자리전망은 '중장기인력수급전망','KNOW 재직자조사','정성적 직업전망조사'등 다양한 조사를 기초로 작성됨
 


변리사의 향후 5년의 고용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지적 재산을 둘러싼 기업간의 분쟁, 특허출원과 소송의 증가, k문화 확산으로 인한 국제 특허 출원의 증가, 지식재산권 보호와 분쟁 증가 등이 그 이유입니다.
 
변리사의 임금과 만족도
 
2021년 조사에 따르면 평균 39면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변리사의 하위 25%가 5180만원의 임금을 받는다고 대답했고 상위 25%는 8288만원으로 응답했습니다. 변리사월급의 중위값은 6508만원입니다.
 
100점만점으로 환산한 재직자가 느끼는 만족도는 76.9% 입니다.
 
 
(참고자료:워크넷)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