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ilding up

왜 수학은 잘하는데 언어발달이 느리지? 영역별 지능,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728x90
반응형

 

 

아이를 키우면서 문득 노래를 잘 부르고 따라 부르는데 언어가 늦는다든지, 구구단은 또래보다 먼저 했는데 받아쓰기는 낙제인 경우 우리 아이의 지능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닌지 걱정해 본 경험이 있으신가요? 우리가 알고 있는 에디슨과 아인슈타인도 과학 영역을 제외한 발달이 늦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지능은 유전의 영향도 있지만 환경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고 하네요. 따라서 부모님이 고학력을 가진 높은 지능의 아이도 환경적으로 그렇지 않았다면 지적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입양한 아이들이 같은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과 비슷한 지적 능력을 가진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면서 입증되었습니다. 하버드대 Gardner교수는 다중지능 이론에 대한 개념을 선보였고, 각각의 지능은 따로 또는 우선적으로 먼저 발달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이 특별히 뛰어나거나 떨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서로 다른 영역의 지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가드너 교수의 저서 “마음에 틀”에서 제시한 다중지능 이론을 보면 인간의 9가지 능력이 소개됩니다.

 

먼저, 언어 지능은 말이나 글을 잘 이해하고 언어의 구조와 의미 그리고 활용의 능력입니다. 외국어를 습득하는 능력도 포함합니다. 두 번째는 논리, 수학적 지능으로 추상적 상징체계를 조작하고 지각하며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능력, 예를 들어 숫자나 기호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입니다. 세 번째는 공간지능인데 이는 시각적, 공간적 기억 능력이나 형태를 바꾸는 능력으로 자극이 없어도 경험을 재창조하는 능력입니다. 지도를 이해하거나 입체설계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네 번째는 음악지능인데 멜로디를 이해하고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으로 화음, 리듬, 음조, 음절을 지각하고 변별하는 능력입니다. 다섯 번째는 신체운동 지능으로 손을 이용해 사물을 만들거나 힘, 유연성, 손재주와 같은 특정한 신체적 기술을 포함합니다. 여섯 번째는 대인관계 지능으로 다른 사람의 감정이나 의도 등을 잘 구분할 수 있는 능력으로 다른 사람들을 공감하고 어떻게 협력하는지를 아는 능력입니다. 일곱 번째는 자기 성찰 지능으로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정확히 알고 내면의 기분과 욕구를 컨트롤하며 자존감을 유지하려는 능력입니다. 여덟 번째는 자연친화 지능으로 사물에 대한 변별력이 있고 환경의 특징을 잘 살펴 주변의 동, 식물 혹은 사물을 잘 관찰 해 분석해 동식물에 해박한 능력입니다. 마지막으로 실존적 지능은 인간의 존재 이유, 삶과 죽음, 인간의 본성 등을 고찰하는 철학적인 사고 능력입니다.

 

다중지능 이론을 앎으로써 지능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이해해 기존의 IQ 중심의 사회에서 획일화된 교육보다는 강점은 개발하고 약점은 보완해 나갈 수 있게 하는 인식의 변화를 제공했습니다. 부모로서 아이가 서로 다른 영역의 지능을 자유롭게 개발하고 사용 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해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