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uilding up

우리 아이 그림, 미술기법과 구도로 알아보는 우리 아이 심리

728x90
반응형

 

아이의 그림이 무조건적인 심리를 나타내지는 않습니다. 아이의 그림을 보기 전 아이에 대한 기본정보 예를 들어 나이나 가정환경 등을 이해해야 합니다. 절대로 그림 하나만 가지고 함부로 판단하지 않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아이가 그림을 그리는 전 과정을 보아야 하며 강요나 도움이 있는 그림은 분석하지 않습니다. 그림을 다 그린 후에는 구체적인 질문을 하며 아이의 이야기를 듣는 것이 중요한데 섣불리 판단하지 않고 이건 무엇을 표현한 건지, 가령 나무를 그렸다면 무슨 나무인지 어디에 있는지 구체 화적인 질문을 하며 아이의 심리를 파악합니다. 단편적인 잣대를 가지고 섣불리 단정 짓지 않으며 아이의 표현한 세계를 오픈마인드로 들어주면 심리를 잘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사용하는 색도 심리를 반영하지만 어떻게 색을 사용했는지도 심리를 비춥니다. 먼저, 따뜻한 색을 많이 사용하는 친구는 자유롭고 협동적인 성격을 보이고 차가운 색을 많이 쓰는 친구는 자기중심적이고 계획적이며 혼자노는 것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과도하게 한 색만 많이 사용하는 친구라면, 심리적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는데 과도한 빨간색은 애정결핍이나 적의를 나타내고 과도한 노란색은 애정결핍 그리고 과도한 검은색은 정서적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무슨 색을 선호하고 사용하는지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사용했는지도 유심히 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색이 너무 단조롭고 가짓수가 적다면 감정적 적응도가 미흡하고 창조성이 약할 수 있습니다. 색의 조화를 고려하지 않고 막 칠하는 친구들은 통제력이 부족할 수 있으며 필요 이상으로 덧칠하는 아이들은 열등감이 강하고 자기감정을 숨기려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색을 문질러 흐릿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아이들은 불안함을 표시하는 것이며 불필요한 색이 많은 경우는 억압되어 있는 욕구를 드러내는 욕구 표현일 수 있습니다.

 

아이의 그림의 위치도 심리를 엿볼 수 있는데 그림이 중심에 위치해있으면 자신감을 나타냅니다. 한쪽으로 쏠린 경우는 유심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좌나 우로 지나치게 쏠린 경우는 강압적 인환 경이나 우울감 혹은 불안감이 있어 정서적 불안정을 표시하는 것 일수 있습니다. 특히 왼쪽으로 치우 친경 우에는 도피하려는 성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이의 그림이 위로 쏠려있는 경우는 낙천적인 성격이며 다른 사람과 거리를 두기 원하는 아이에게 보인다고 합니다. 아래에 쏠린 구도는 위축되어 있는 아이일 수 있으며 불안하고 우울감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백이 너무 많이 나타난다면 반항감의 표시일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빽빽하게 꽉 찬 구도의 그림은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며 스트레스를 표현한 것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EK()_월간유아 by 키드키즈

728x90
반응형